평창 라마다 호텔 & 스위트 사우나


사우나 입구입니다. 새 건물이라 그런지 굉장히 깨끗합니다.


신발을 신발장에 넣고 들어갑니다.


호텔사우나답게 깨끗하게 정리되어 있는 모습입니다. 
저는 일요일 점심때 아이들과 함께 호텔을 체크아웃하고 갔는데
그 넓은 사우나에 어른 3분정도 계셨습니다.

가격도 비싸지 않은 편인 것 같습니다. 가격은 아래를 참조하세요.


평창 라마다 호텔 홈페이지에도 안나오는 알짜 정보를 공유드립니다.

정가는 성인 15,000원 소인 10,000원입니다.

하지만 지역주민 및 투숙객은 50% DC 이끼때문에 
성인 7,500원 소인 5,000원에 입장할 수 있습니다.

Posted by KennyShin
,
save image

The lastest version of SENT(Single Edge Nibble Transmission) has been relased on 29.Apr.2016
If you want to see the document of SENT, You should pay $81 at SENT standard page

Please refer to the follow link



Posted by KennyShin
,


옛날 버전 MPLAB X나 MPLAB IDE가 필요하시면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Downloads Archive

MPLAB X IDE Archives


Windows (x86/x64)Mac (10.X)Linux (32/64 bit)
MPLAB IDE X v1.00aMPLAB IDE X v1.00aMPLAB IDE X v1.00a
MPLAB IDE X v1.10MPLAB IDE X v1.10MPLAB IDE X v1.10
MPLAB IDE X v1.20MPLAB IDE X v1.20MPLAB IDE X v1.20
MPLAB IDE X v1.30MPLAB IDE X v1.30MPLAB IDE X v1.30
MPLAB IDE X v1.41MPLAB IDE X v1.41MPLAB IDE X v1.41
MPLAB IDE X v1.51MPLAB IDE X v1.51MPLAB IDE X v1.51
MPLAB IDE X v1.60MPLAB IDE X v1.60MPLAB IDE X v1.60
MPLAB IDE X v1.70MPLAB IDE X v1.70MPLAB IDE X v1.70
MPLAB IDE X v1.80MPLAB IDE X v1.80MPLAB IDE X v1.80
MPLAB IDE X v1.85MPLAB IDE X v1.85MPLAB IDE X v1.85
MPLAB IDE X v1.90MPLAB IDE X v1.90MPLAB IDE X v1.90
MPLAB IDE X v1.95MPLAB IDE X v1.95MPLAB IDE X v1.95
MPLAB IDE X v2.00MPLAB IDE X v2.00MPLAB IDE X v2.00
MPLAB X v2.05MPLAB X v2.05MPLAB X v2.05
MPLAB X v2.10MPLAB X v2.10MPLAB X v2.10
MPLAB X v2.15MPLAB X v2.15MPLAB X v2.15
MPLAB X v2.20MPLAB X v2.20MPLAB X v2.20
MPLAB X v2.26MPLAB X v2.26MPLAB X v2.26
MPLAB X v2.30MPLAB X v2.30MPLAB X v2.30
MPLAB X v2.35MPLAB X v2.35MPLAB X v2.35
MPLAB X v3.00MPLAB X v3.00MPLAB X v3.00
MPLAB X v3.05MPLAB X v3.05MPLAB X v3.05
MPLAB X v3.10MPLAB X v3.10MPLAB X v3.10
MPLAB X v3.15MPLAB X v3.15MPLAB X v3.15
MPLAB X v3.20MPLAB X v3.20MPLAB X v3.20
MPLAB X v3.26MPLAB X v3.26MPLAB X v3.26
MPLAB X v3.30MPLAB X v3.30MPLAB X v3.30
MPLAB X v3.35MPLAB X v3.35MPLAB X v3.35
MPLAB X v3.40MPLAB X v3.40MPLAB X v3.40
MPLAB X v3.45MPLAB X v3.45MPLAB X v3.45
MPLAB X v3.50MPLAB X v3.50MPLAB X v3.50
MPLAB X v3.55MPLAB X v3.55MPLAB X v3.55
MPLAB X v3.61MPLAB X v3.61MPLAB X v3.61
MPLAB X v3.65MPLAB X v3.65MPLAB X v3.65
MPLAB X v4.01MPLAB X v4.01MPLAB X v4.01
MPLAB X v4.05MPLAB X v4.05MPLAB X v4.05
MPLAB X v4.10MPLAB X v4.10MPLAB X v4.10
MPLAB X v4.15MPLAB X v4.15MPLAB X v4.15
MPLAB X v4.20MPLAB X v4.20MPLAB X v4.20
MPLAB X v5.00MPLAB X v5.00MPLAB X v5.00
MPLAB X v5.05MPLAB X v5.05MPLAB X v5.05
MPLAB X v5.10MPLAB X v5.10MPLAB X v5.10


MPLAB IDE Archives



Language Tool Archives

MPLAB XC8MPLAB XC16MPLAB XC32
v1.00 (WIN) (03/22/12)v1.00 (WIN) (05/03/12)v1.00 (WIN) (03/22/12)
v1.00 (Linux) (03/22/12)v1.00 (Linux) (05/03/12)v1.00 (Linux) (03/22/12)
v1.00 (OSX) (03/22/12)v1.00 (OSX) (05/03/12)v1.00 (OSX) (03/22/12)
v1.01 (WIN) (06/23/12)v1.10 (WIN) (08/08/12)v1.10 (WIN) (08/08/12)
v1.01 (Linux) (06/23/12)v1.10 (Linux) (08/08/12)v1.10 (Linux) (08/08/12)
v1.01 (OSX) (06/23/12)v1.10 (OSX) (08/08/12)v1.11 (OSX) (10/04/12)
v1.10 (WIN) (08/08/12)v1.11 (WIN) (12/11/12)v1.11 (WIN) (10/04/12)
v1.10 (Linux) (08/08/12)v1.11 (Linux) (12/11/12)v1.11 (Linux) (10/04/12)
v1.10 (OSX) (08/08/12)v1.11 (OSX) (12/11/12)v1.20 (OSX) (12/07/12)
v1.11 (WIN) (10/25/12)v1.20 (WIN) (10/22/13)v1.20 (WIN) (12/07/12)
v1.11 (Linux) (10/25/12)v1.20 (Linux) (10/22/13)v1.20 (Linux) (12/07/12)
v1.11 (OSX) (10/25/12)v1.20 (OSX) (10/22/13)v1.21 (OSX) (04/22/13)
v1.12 (OSX) (12/04/12)v1.21 (WIN) (01/09/14)v1.21 (WIN) (04/22/13)
v1.12 (WIN) (12/04/12)v1.21 (OSX) (01/09/14)v1.21 (Linux) (04/22/13)
v1.12 (Linux) (12/04/12)v1.21 (Linux) (01/09/14)v1.22 (OSX) (8/19/14)
v1.20 (OSX) (06/24/13)v1.22 (Linux) (8/19/14)v1.22 (WIN) (8/19/14)
v1.20 (WIN) (06/24/13)v1.22 (WIN) (10/10/14)v1.22 (Linux) (10/21/13)
v1.21 (Linux) (10/04/13)v1.22 (OSX) (10/10/14)v1.30 (OSX) (11/13/2013)
v1.21 (OSX) (10/04/13)v1.23 (Linux) (9/25/14)v1.30 (Linux) (11/13/2013)
v1.21 (WIN) (10/04/13)v1.23 (WIN) (9/25/14)v1.30 (WIN) (11/13/2013)
v1.30 (WIN) (01/13/14)v1.23 (OSX) (9/25/14)v1.31 (WIN) (12/20/2013)
v1.30 (OSX) (01/13/14)v1.24 (Linux) (12/19/14)v1.31 (OSX) (12/20/2013)
v1.30 (Linux) (01/13/14)v1.24 (WIN) (12/19/14)v1.31 (Linux) (12/20/2013)
v1.31 (WIN) (03/28/14)v1.24 (OSX) (12/19/14)v1.32 (WIN) (05/30/2014)
v1.31 (OSX) (03/28/14)v1.25 (Linux) (6/30/15)v1.32 (OSX) (05/30/2014)
v1.31 (Linux) (03/28/14)v1.25 (WIN) (6/30/15)v1.32 (Linux) (05/30/2014)
v1.32 (WIN) (06/05/14)v1.25 (OSX) (6/30/15)v1.33 (WIN) (07/22/14)
v1.32 (Linux) (06/05/14)v1.26 (Linux) (2/19/16)v1.33 (Linux) (07/22/14)
v1.32 (OSX) (06/05/14)v1.26 (WIN) (2/19/16)v1.33 (OSX) (07/22/14)
v1.33 (WIN) (08/25/14)v1.26 (OSX) (2/19/16)v1.34 (WIN) (02/16/15)
v1.33 (Linux) (08/25/14)v1.30 (Linux) (2/22/16)v1.34 (Linux) (02/16/15)
v1.33 (OSX) (08/25/14)v1.30 (WIN) (2/22/16)v1.34 (OSX) (02/16/15)
v1.34 (Linux) (02/16/15)v1.30 (OSX) (2/22/16)v1.40 (WIN) (6/3/15)
v1.34 (OSX) (02/16/15)v1.31 (Linux) (2/10/2017)v1.40 (Linux) (6/3/15)
v1.34 (WIN) (02/16/15)v1.31 (WIN) (2/10/17)v1.40 (OSX) (6/3/15)
v1.35 (Linux) (7/7/15)v1.31 (OSX) (2/10/17)v1.42 (WIN) (6/1/16)
v1.35 (OSX) (7/7/15)v1.32B (Linux) (8/15/2017)v1.42 (Linux) (6/1/16)
v1.35 (WIN) (7/7/15)v1.32B (WIN) (8/15/2017)v1.42 (OSX) (6/1/16)
v1.36 (Linux) (1/14/16)v1.32B (OSX) (8/15/2017)v1.43 (WIN) (3/1/17)
v1.36 (OSX) (1/14/16)v1.33 (Linux) (10/9/17)v1.43 (Linux) (3/1/17)
v1.36 (WIN) (1/14/16)v1.33 (WIN) (10/9/17)v1.43 (OSX) (3/1/17)
v1.37 (Linux) (3/10/16)v1.33 (OSX) (10/9/17)v1.44 (WIN) (6/5/17)
v1.37 (OSX) (3/10/16)v1.34 (Linux) (3/21/18)v1.44 (Linux) (6/5/17)
v1.37 (OSX) (3/10/16)v1.34 (WIN) (3/21/18)v1.44 (OSX) (6/5/17)
v1.38 (Linux) (6/30/16)v1.34 (OSX) (3/21/18)v2.05 (WIN) (1/9/18)
v1.38 (OSX) (6/30/16)v1.35 (Linux) (5/30/18)v2.05 (Linux) (1/9/18)
v1.38 (WIN) (6/30/16)v1.35 (WIN) (5/30/18)v2.05 (OSX) (1/9/18)
v1.40 (Linux) (11/30/16)v1.35 (OSX) (5/30/18)v2.10 (WIN) (1/9/18)
v1.40 (OSX) (11/30/16) v2.10 (Linux) (1/9/18)
v1.40 (WIN) (11/30/16) v2.10 (OSX) (1/9/18)
v1.41 (Linux) (1/24/17)  
v1.41 (OSX) (1/24/17)  
v1.41 (WIN) (1/24/17)  
v1.42 (Linux) (4/12/17)  
v1.42 (WIN) (4/12/17)  
v1.42 (OSX) (4/12/17)  
v1.43 (Linux) (7/24/17)  
v1.43 (WIN) (7/24/17)  
v1.43 (OSX) (7/24/17)  
v1.44 (Linux) (9/22/17)  
v1.44 (WIN) (9/22/17)  
v1.44 (OSX) (9/22/17)  
v1.45 (Linux) (12/7/17)  
v1.45 (WIN) (12/7/17)  
v1.45 (OSX) (12/7/17)  
v2.00 (WIN) (5/27/18)  
v2.00 (OSX) (5/27/18)  
v2.00 (Linux) (5/27/18)  

 

 

 

 

HI-TECH C Compilers
Use this FTP link for HI-TECH C Compiler archive: HI-TECH C Archive

 



Source Archives

 



PICkit Archives

 


https://www.microchip.com/development-tools/pic-and-dspic-downloads-archive



Posted by KennyShin
,
마이크로컨트롤러의 Flash memory를 
Writing하기 위한 양산용 Gang장비이다. 

(갱장비라고 읽는다.)

한번에 1개씩 Writing할 수도 있고, 
많게는 한번에 8개까지도 Writing할 수 있다.


가격대는 기능과 한번에 Writing할 수 있는 갯수에 따라 50만원대에서 1000만원대까지다양하다.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하면 될 것 같다.


여러 벤더의 MCU뿐만 아니라 EEPROM, Flash와 같은
디바이스도 프로그래밍 가능하다.










Posted by KennyShin
,
Pickit3도 가짜가 있다.
아래 두 제품 중 하나는 가짜이다.

save image             


가짜 Pickit3는 국내 인터넷 쇼핑몰에서 2만원 중반대에 판매되고 있다.
정품 Pickit3는 6만원정도에 판매된다.

그러면 어떤 것이 진짜일까?

정답은 오른쪽에 있는 제품이다.
바로 이제품이다. Pickit3라고 쓰여있는 위에 MICROCHIP이라고 쓰여 있다.

가짜에는 M이 아니라 W라고 쓰여 있고 MPLAB IDE라고 쓰여져 있다.


정품 Pickit3








가능한 정품 Pickit3는 Tool A/S가 가능하다.







Posted by KennyShin
,

MPLAB X IDE에서 C코드를 컴파일을 후에
Hex 파일을 작업하기 좋은 위치로 옮겨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컴파일을 하면 Hex파일은 프로젝트 파일 경로의
하위 폴더에 생성됩니다.

E:\ExampleCode\pic16_c_template.X\dist\XC8\production






그런데 위의 경로가 아니라 D드라이브 루트나 E:\HexOutput 과 같은
특정 폴더에 출력을 하고 싶으면 아래 방법을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이 빨간색으로 표시된 부분의
"Execute this line after build"의 checkbox를 클릭 후

cp ${ImagePath} E:\HexOutput

와 같이 추가합니다.


이렇게 설정하시고 프로젝트를 컴파일 하시면

설정한 경로에 Hex파일이 출력된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끝!!



Posted by KennyShin
,

평소 마침표(.), 쉼표(,), 물음표(?), 느낌표(!)와 같은 것을 배운 기억은 없습니다.

하지만 어떤 의미인지 안다고 생각하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세미콜론(;)은 무슨 뜻이지?

세미콜론(;)

이웃 블로거 중에 제목을 아래처럼 사용하시는 분이 있습니다.

고궁; 전주비빔밥 맛집

어른 동화 네이버 블로그

몇 주 전부터 제가 쓰고 있는 블로그에도 제목에 세미콜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른 동화 블로그의 글을 보고 뭔가 있어 보여 따라 하게 되었습니다.

사전을 찾아보니 이런 뜻이 있습니다.

문장을 일단 끊었다가 이어서 설명을 더 계속할 때 쓰는 ‘;’ 형태의 문장부호

네이버 지식백과 - 시사상식사전

주로 영어 문장에서 쓰이고 국어에서는 세미콜론에 대한 규정된 바가 없고,

세미콜론 대신에 쉼표(,) 또는 쌍점(:), 마침표(.)가 쓰인다고 합니다.

세미콜론이 익숙하지 않다고 생각하면서도

세미콜론이 많이 익숙했습니다.



컴퓨터 프로그래밍(Computer programming) 코드에 온통 세미콜론이네요.

프로그래밍 코드로 글을 쓰는 직업(?)을 가졌으면서도

세미콜론(;)이 이렇게 많이 쓰이는지 몰랐습니다.

void main(void) { // initialize the device SYSTEM_Initialize(); // When using interrupts, you need to set the Global and Peripheral Interrupt Enable bits // Use the following macros to: // Enable the Global Interrupts INTERRUPT_GlobalInterruptEnable(); // Enable the Peripheral Interrupts INTERRUPT_PeripheralInterruptEnable(); while (1) { // Add your application code __delay_ms(200); LATAbits.LATA0 ^= 1; LATAbits.LATA1 ^= 1; } }


Posted by KennyShin
,
2019년 2월 20일(수)에 2019년 한국 마이크로칩 테크페어가 개최됩니다. 

장소는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코오롱 사이언스밸리 1차 2층 202호 후이즈 아카데미입니다. 
(2호선 구로디지털단지역 3번 출구에서 도보로 3분거리에 위치)


지도 크게 보기
2019.1.28 | 지도 크게 보기 ©  NAVER Corp.



참가하시면 총 3가지 선물을 준다고 합니다. 백팩, PIC 8비트 개발툴인 DM164137, ATSAMD10-XMINI를 참가하시는 모든 분께 드립니다.


세미나는 총 6개 강의가 진행되며 2개 강의실에서 동시에 강의가 진행될 예정입니다. 
현업에서 필요하신 부분이나 관심있으신 강의를 선택하여 수강하실 수 있습니다.



강의와 동시에 총 20가지의 임베디드 솔루션에 대한 전시회도 이루어지게 됩니다.  쉬는 시간이나 점심시간을 이용하여 보실 수 있습니다.

점심식사가 제공될 예정이며,
주차는 1시간만 무료로 제공되니 되도록 대중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참가신청하러가기: http://www.microchipkorea.com


Posted by KennyShin
,